-
- [홍의숙] ⑥ 코칭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 자연스럽게 시대에 부응하는 기회 부여
-
2007년에 들어서면서 점점 코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임원과 핵심인재에게는 Executive as Coach, 중간관리자를 위해서는 Coaching for PI(Pe...
-
2014-05-16
₩1,500
-
- [홍의숙] ⑤ 코칭을 통한 중소기업의 변화 과정 - 프로의식 함양, 분위기 매출 UP
-
정부는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여러 가지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필자 주변의 중소기업 관계자들도 그 혜택을 받으려고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며 정보를 ...
-
2014-05-16
₩1,500
-
- [임영준]⑫ 4H - WHEN, WHERE, WHO, WHAT
-
4 H – WHEN, WHERE, WHO, WHAT
커뮤니케이션은 말로써 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것이 원활하게 됨은 몸짓,손짓
중개인...
-
2014-05-16
₩1,500
-
- [홍의숙] ④ 중견기업의 생산성 코칭 관계 - 이직률 낮추고 생산성 높이고
-
경기도 공단지역에서 자동차 부품회사로서 약 25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Y사는 2년 전 코칭을 도입했다. 당시 전사적으로 생산성향상운동을 벌이기 시작했...
-
2014-05-16
₩1,500
-
- [홍의숙] ③ 동료팀장 업무 이해 - 직원과 상호협력
-
기업에서 그룹코칭을 선호하는 경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각 단위의 장들이 서로를 이해하며 벤치마킹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
-
2014-05-16
₩1,500
-
- [홍의숙] ② 사람을 키우는 리더 vs 찾는 리더 - 대기업 임원 코칭사례
-
대기업의 임원은 속칭 별을 단 사람이라는 표현을 한다. 그만큼 어려운 경쟁 속에서 살아남았다는 뜻일 것이다. 필자는 CEO를 비롯하여 부사장, 전무, 상무...
-
2014-05-16
₩1,500
-
- [홍의숙] ① 트렌드에 맞는 코칭교육과 유지 방법 - 기업의 변화, 코칭교육 이틀이면 가능
-
“오늘의 지식이 내일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최근 내한한 앨빈토플러의 말이다. 이 말을 음미해보면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
2014-05-16
₩1,500
-
- [임영준]⑪ 난문자 게임
- 난문자 게임
목적
일부 커뮤니케이션은 말로써 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것 이 원활하게 됨은 몸짓 손짓 눈길 등 소위 바디랭귀지 (Body Language) 가 이를 ...
-
2014-05-16
₩1,500
- 최신뉴스더보기
-
-
- SK하이닉스, 사회적 기업과 시민과학자 위한 AI 교육 'AI for Impact' 신설
- SK하이닉스는 사회적 기업과 환경·안전·보건 분야 시민과학자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AI for Impact'를 신설하고, 서울 성동구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성수시작점)에서 론칭 행사를 열었다고 지난 5월 14일 밝혔다.AI for Impact는 사회문제 해결에 AI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 창...
-
- 한국맥도날드, 메타버스 기반 참여형 교육 개최
- 한국맥도날드는 식품안전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푸드 세이프티 타운홀'을 개최했다고 지난 5월 14일 밝혔다.올해로 9회째를 맞은 이번 타운홀은 전국 매장의 매니저, 점장, 본사 임직원과 협력사가 함께 참여해 식품안전 교육을 받고, 실천 사례와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자리다. 2022년부터 메타버스 플랫폼을 도입해 운영되고 있다.올...
-
-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 종강
-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5월 15일 ‘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의 종강식을 개최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종강식에는 수강생을 비롯한 인천시 국제협력국, 인천연구원, 인천대 중국학술원 관계자 등 약 40여명이 참석해 그동안의 배움의 과정을 돌아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는 인천..
-
- [엄준하 발행인] 기업교육, 직무중심으로···.
- 기업교육, 직무중심으로···.성과를 만드는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합니다기업교육은 오랫동안 ‘인간개발’이라는 고유 목적을 추구해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업 환경은 교육을 성장을 위한 단편적 수단이 아닌, 직무성과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특히, ‘직무중심’ 교육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조직의 생존과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