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변화에 따른 산업교육의 신방향
사회주의 몰락으로 인한 냉전체제의 붕괴, `4isms`(Nationailsm, Reglonalism, Protectionalism, Bilateralism)이 상존하고 있는 국제 경제 질서속에서의 WTO체제 출범,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Hydra`적 극심한 변화 등은 차치하고서라도 국내 기업을 살펴볼 때,,,
-
기업환경 변화와 새로운 산업교육의 역할
우리나라는 작년에 962억 달러를 수출했고 금년엔 1,120억달러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금년도 GNP를 4,400억 달러로 추정하면 수출이 국민총생산액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제12위의 무역대국이고 세계 2위의 조선국, 세계 1위의 반도체생산국,,,
-
산업교육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불과 5년을 남겨둔 21세기는 우리에게 어떤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는가? 왜 세계의 기업들은 조직혁신을 위하여 몸부림치고 있는가? 왜 각국의 기업은 21세기의 인재육성을 위하여 교육혁신을 부르짖고 있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우리는 먼저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
이제 제공의 개념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해야 한다
정보화, 정보혁명의 사회로 변해가면서 산업교육은 제공의 개념에서 학습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다. 즉,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생들을 한 곳에 집합시키는 것이 아닌, 자기 위치에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최적의 프로그램과 제도확립으로 조직원들의 능력개발을 최우선으로 한다
LG상사의 95년도 연수 중점방향은 3新을 통한 중기목표달성 기반 조성에 있다.
3新이란, 첫째. 3대전략방침 실현교육, 역할수행 및 팀웍교육. 기본공통교육 등의 新교육체계. 둘째, 학점이수제와 사내강사 육성 및 지원시스템 개발 과정인 新교육제도. 셋째,,,
-
내부경쟁력 강화로 환경변화에 따른 생산현장의 풍토를 개선한다
동양제과의 공장합리화운동은 92년 준비기를 거쳐 93년도의 도입기. 94년 전개기. 95년 성장기로 이어졌는데 그 시초는 93년 1월 서울공장에서 PRIMA-2000 운동이 시작되면서 부터다. 공장합리화운동은 90년대 초반 업계의 경쟁이 중요하게 떠오르자 환경변화에 따른 체질개선을 목적으로 시작했다.
-
혁신과제 실천을 전사원의 행동혁신으로
90년대 들어 경영혁신을 추진하여 상당한 성과를 보고 있는 기업들이 많다. 일부의 기업들은 혁신이라는 수단을 통해 변화의 기간을 새로운 경영혁신 기회로 활용하여 이미 세계적인 초우량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경영혁신을 추진하는 기업들이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실패하는 경우나 그저 그런 기업들이 더욱 많다.
-
교육,경영기법분석
직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의 대부분은 연수회에서 연수를 받은 그대로의 상황대로 되지 않는 응용문제이다. 응용이 까다롭기 때문에 연수회에서 가르침 받았던 좋은 일도 여간해서 실행되기 어려운 것 같다. 이 벽을 물리치고자 하는것이「사례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