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과향상을 위한 첨단 교육 기법 보급
- 미국의 선진 매니저먼트 노하우의 한국 내 정착 및 승화발전을 위해, 주식회사 이디에스와 한국LI 교육원의 공동 투자로 설립된 어치브코리아(주)는 AchieveGlobal 과 한국내 프로그램 보급 권리를 갖는 별도...
-
1998-09-01
무료
-
- 체제적 접근을 통한 과정개발 및 교육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 기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실시해온 교육훈련이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했는지, 기여했다면 얼마만큼이나 기여했는가 하는 의문은 기업...
-
1998-09-01
무료
-
- 요구에 의한 창조적 혁신 적용
- 부서간 Z프로세스의 상호 역동성 자기부서 내에서 업무가 시작되고 자체적으로 마무리까지 되는 경우는 부서 내에서 Z 프로세스가 쉽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창조자가 아이디어를 자...
-
1998-09-01
무료
-
- 교육훈련(Training and Development)
- 지난 2회에 걸쳐 HRD와 관련 영역들의 정의와 상호 관계를 규명했다. 항해하는 배의 위치를 별자리와 인근 항구와의 상대적 거리와 각도로 파악하듯, 새롭고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성장해 나가는 HRD를...
-
1998-09-01
무료
-
-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극복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한다
- 중앙일보는 일반 기자와 평사원 승진시, 신입간부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비상경영하의 회사현안 인식과 간부의 역할 정립, 개인과 대인 관계 차원의 리더십 역량개발, 그리고 개혁목표 달성을 위한 ...
-
1998-08-01
무료
-
- 거품없는 실속연수의 전당으로 거듭난다
- 필요에 의해서라면 여직원이 원장보다 넓은 자리를 차지하고, 팀장이기에 팀원보다 좋은 컴퓨터를 써야하는 보편의 논리도 깨뜨리고, 대리, 과장, 차장 직급의 무게보다 업무능력의 무게가 더 크게 느껴...
-
1998-08-01
무료
-
- HRD 와 연관분야
- 개의 역량이 뛰어나더라도 그의 조직이 바라는 산출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번호에서는 이러한 경우들을 설명할 수 있는 수행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 개인의 수행의 수준 이외에 프로세...
-
1998-08-01
무료
-
- 요구에 의한 창조적 혁신 적용
- 균형있는 팀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어떤 현상이 있을 수 있나? -창조자가 없으면: 새로운 개념이 없고 기존의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추진자가 없으면: 초기의 새로운 개념이 추진...
-
1998-08-01
무료
- 최신뉴스더보기
-
-
- [양병채 해양수산인재개발원 원장] 조직과 개인의 성공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
- 조직이 인재를 채용한다고 해서 그 인재가 곧바로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인재가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환경, 시스템, 문화, 리더십 등 다양한 조건이 필요하다. 이 조건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성원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HRD의 본질적 역할이다. 조직은 필연적으로 ‘성과’라는 결과를 추구하지만, 그 ...
-
- [추천 강사: 최진주 라이프앤뷰 대표/코치]
- 최진주 라이프앤뷰 대표/코치경력 사항현) 한국코치협회인증 전문코치 KPC국제코치연맹인증 전문코치 PCCICF Advanced Accreditation in Team Coaching교육과정 수료KAC코치자격 인증 서류 및 실기 심사위원ICF코리아챕터 young professional 멘토코치국제공인 버크만 인증 디브리퍼 Korea│International英,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 인증 퍼실리테이터전) LG전자 해.
-
- [추천 강사: 김소희 한국토닥토닥연구소 소장]
- 김소희 한국토닥토닥연구소 소장경력 사항현) (부)토닥허그심리상담센터인천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 전임교수인천중구가족센터 전임교수강화군정신건강복지센터 전임교수부산중구정신건강복지센터 전임교수양평군정신건강복지센터 전임교수양평군가족센터 전임교수LH토지주택연구소, 경기도인재개발원, 롯데인재개발원 전임교수한국.
-
- [김동현 티오더 HR총괄] 온보딩은 사라졌다. 이후, 우리는 무엇을 설계해야 하는가
- 지금도 많은 스타트업은 ‘온보딩’이라는 말을 쓴다. 하지만 그 단어가 가리키는 실체는 예전과 다르다. 우리가 익숙하게 떠올리는 전통적인 온보딩―입사 첫 주 교육, 팀별 부서 소개, HR 워크북, 멘토 매칭, 점심 네트워킹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정착 프로그램―은 이제 대부분의 스타트업에선 작동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명확하다.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