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버교육체제 구축 모형
- 사이버교육은 자율성, 시공간 초월성, 양방향성, 수요자 중심으로 대표되는 신 교육패러다임이다.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급격히 증가한 우리들의 교육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으며, 평생교육 기회의 확...
-
1999-05-01
무료
-
- 강의, 강연의 요령
- 남앞에 서서,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자기의 주장과 논리를 명쾌하고도 인상깊게 전달 할 수 있다면 당신은 분명히 유능한 직장인이다. 더욱이, 직장에서 어느 정도 지위가 올라가면 당면한 과제에 대하여 ...
-
1999-05-01
무료
-
- 이제 교습조직이어야!
- 학습조직의 배후 개념은 고귀하다. 그러나 치열한 시장경쟁에서 성공하려면 학습조직은 충분치 않다. 회사는 신속히 변할 수 있어야 하고 구성원들은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잽싸게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
1999-05-01
무료
-
-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 매년 한 차례씩 `금호인재개발대회`를 개최하여 부문별 사내 강사를 발굴하는 등, 학습조직 활성화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금호그룹연수원, 이곳에서 한국 산업교육 발전을 위해 연구하고 학습하고...
-
1999-04-01
무료
-
- 기업교육기관의 조직적 구조 변화와 교육담당자의 역할변화
- 이 내용은 지난 98년 11월 한국산업교육학회에서 실시한 `산업교육연구`중 `IMF체제에 대응하는 기업교육의 구조적 변화와 담당자 역할의 변화`에서 요약 발췌한 내용임을 밝혀둔다.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
-
1999-04-01
무료
-
- 리더십이란
- 급변하는 시대와 IMF 구조조정의 와중에서도 선견지명이 있고 조직이나 그룹을 이끌어가는 훌륭한 리더가 있는 집단은 이 어려운 난관에서도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성장한다. 그 어떤 조직이던 리...
-
1999-04-01
무료
-
- 산업교육기법의 종류와 활용법
- 교육의 목적과 프로그램의 내용이 결정되면, 강사와 사전타협을 하는데 있어서 어떤 교육기법을 활용해서 프로그램을 전개해 나갈것인지를 정한 다음에 교재준비에 착수하게 된다. 교육기법은 목표달성...
-
1999-04-01
무료
-
- 정보통신매체와 다양한 원격교육
- 미국의 유명한 미래학가 피터드러커(80세)는 지금부터 30년 뒤에는 대학캠퍼스가 없어지고 위성강의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언하고 있다. 드러커 자신은 원격통신 기술의 신봉자로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클...
-
1999-04-01
무료
- 최신뉴스더보기
-
-
- [오세정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미래 교육의 방향, 교수자의 새로운 역할
- 대한민국은 후진국에서 출발하여 짧은 시일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매우 성공적인 나라라고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성공의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꼽는다. 예를 들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루카스 교수(Robert Lucas Jr.)는 인적자본론(Human Capital Theory)을 통해, 한국이 교육을 통해 생산 인구의 능력을 높인 것이 ..
-
- [추천 도서: 대한민국 건국과 나]
- 대한민국 건국과 나장병혜·장병초 엮음에포카 펴냄나라와 민족을 세우는 창조적 리더십의 정수!“이 나라와 이 민족의 살길은 오직 민주주의의 실천에 있다는 것을 금과옥조로 믿고 있는 바이므로 민주주의의 발전에 최대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결의하던 창랑 장택상 선생의 일대기. 도서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초석을 닦은 그의 여.
-
- [추천 도서: AI 시대, 우리의 질문]
- “관계, 직업, 정치, 윤리 등 AI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낸다!”AI의 방향을 올바로 이끌기 위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13개의 질문AI 시대, 우리의 질문미리암 메켈·레아 슈타이나커 지음강민경 옮김한빛비즈 펴냄AI가 인간을 대체할지, 지원할지 결정하는 것은 우리의 ‘질문’이다. 관련해서 도서는 13개의 근본적 물음을 바탕으로 AI와...
-
- [양병채 해양수산인재개발원 원장] 조직과 개인의 성공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
- 조직이 인재를 채용한다고 해서 그 인재가 곧바로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인재가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환경, 시스템, 문화, 리더십 등 다양한 조건이 필요하다. 이 조건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성원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HRD의 본질적 역할이다. 조직은 필연적으로 ‘성과’라는 결과를 추구하지만,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