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인기뉴스

  1. 16251 [윤선경 박사] 조직 내 PBL 상급자로 거듭나기 생성형 AI의 대중적 확산으로 ‘개별화된 학습경험’에서 학습자의 ‘능동성’이 강조되는 학습 전환이 진행 중이다. 이때 PBL의 학습 능동성을 끌어올릴 학습환경을 검토해보자. PBL은 경험을 통해 실제의 앎을 학습자가 구성해나가는 방식이므로 무엇보다 ‘학습경험’과 ‘몰입환경’ 제공이 중요하다. 첫째로 학습경험은 사회, 조직, 타... 2023-09-01
  2. 16252 [차경진 교수] 정신적, 물리적, 문화적, 시스템적 구성원 경험 디자인 지금까지 조직문화와 구성원, 시공간, 헙업기술과 데이터 간 상호작용 등 다양한 관점에서 스마트워크 플레이스에 관해 알아봤다. 이번에는 어떻게 하면 스마트워크 플레이스를 차별화된 ‘구성원 경험(EX)’으로 설계해 나갈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차별화된 경험 디자인은 스마트워크 플레이스에 일부 기능을 덧붙이거나, 괜찮은 서... 2023-06-01
  3. 16253 [AI TECH 2023] AI의 가능성을 보며 되새기는 휴머니티 ‘생성형 AI’를 향한 기업의 시선은 ‘과연 AI로 일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압축된다. 관련해서 ‘AI + X = 2F(Future & Force)’를 주제로 열린 「AI TECH 2023」은 AI가 기업에 ‘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엿볼 수 있었던 컨퍼런스였다. 특히 3명의 연사가 수놓은 기조강연은 전문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일의 본질을 파악하... 2023-06-01
  4. 16254 [김문수 위원장] 사람다움이 깃든 태도와 역량 “함께 잘사는 국민의 나라를 위한 길은 대화와 협력입니다.”노동은 삶에 필요한 것들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이다. 그래서 건강한 노동시장 구축, 즉 노동개혁은 국가적 필수 과제다. 이를 위해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은 노사법치주의를 중심으로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김문수 위원장은 공직사회 최초로 HRD 보좌관 제... 2023-04-26
  5. 16255 [김주수 부사장] 일의 미래와 HR 미래는 언제나 관심이 큰 주제다. HR 분야 역시 일의 미래(Future of Work)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높은 관심만큼 예측과 우려도 매우 다양하다. 혹자는 기계가 일하는 세상이 도래해서 사람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하는가 하면, 누군가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일이 등장하기에 빨리 대비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정규직이 점차 줄어들어 이... 2023-03-02
  6. 16256 [최용범 교수] 수행문제 원인과 해결안 찾기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효율적으로 해내는 것만큼 쓸모없는 일은 없다’라는 피터 드러커의 말은 중요한 것을 핵심적으로 요약하고 있다. 조직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압박, 직원들에게 이를 더 잘 달성하도록 취하는 각종 압박과 함께 이를 실천하도록 하는 압박 또한 상당하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압박에 의한 ‘실천’은 때때로 무... 2022-10-31
  7. 16257 [최용범 교수] 사업 현상과 퍼포먼스 현상의 규명 퍼포먼스 컨설팅에서 중요한 일은 최적의 업무 관행을 찾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객서비스 센터에 속해 있는 프로젝트 팀은 고객 서비스 담당자들이 해야 하는 것과 현재 하는 것 사이의 차이(gap)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때 프로젝트 팀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왜냐하면 고객 서비스 담당자들은 다양한 문제를 처리해야 하는데 수많... 2022-09-30
  8. 16258 [조인희 부장] 즐겁고 알찬 일터를 만들어야 하는 HR HR은 인생의 라이프 사이클과 같다고 한다. 입사(탄생)부터 직원유지/개발(성장), 퇴사(사망)까지의 과정을 맡는 까닭이다. 입사나 퇴사는 구성원의 주도적 선택에 일부 제약이 있겠지만 회사생활 방식에선 자의/타의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크다. 그렇다면 선택의 과정을 구성원과 함께할 방법은 무엇일까? 정답을 낼 수 있다면 좋... 2022-09-27
  9. 16259 [일생경영학교] 人生一生 FAMILY: 가족 행복하기 부부가 살다 보면 종종 부딪칠 때가 있다. 혹은 어쩔 수 없이 상대가 미워지는 순간들도 있다. 문제는 자신에게 일어난 어떤 사실들을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스스로 괴로움에 휩싸이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가령 당신이 며칠 동안 계속된 야근으로 몸이 피곤해서 오늘만은 집에 일찍 들어와 쉬고 싶었다고 하자. 그래서 출근하면... 2022-09-27
  10. 16260 [박화춘 부연구위원] 직업 가치, 태도, 행동 우리는 앞서 3회에 걸쳐 일반 직업인에게 주어진 직업윤리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봤다. 이번 호는 디지털 전환과 기후 위기의 시대에 요구되는 직업윤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디지털과 기후 위기 시대라고 해서 일반 직업인에게 요구되는 직업윤리에서 큰 변화를 찾기 어렵다. 이에 비하여 조직(기업)을 책임지고 있는 경영자가 직면하... 2022-07-28
처음  이전  1621  1622  1623  1624  1625  1626  1627  1628  1629  1630  다음  맨끝
최신뉴스더보기
내부배너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