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인기뉴스

  1. 16271 [김주수 리더] 세 가지 질문을 통해 파악하는 효과적 경청을 위한 포인트 팬데믹이 지속되며 우리는 누구나 감염병에 걸릴 수 있다는 불안 속에 살아가고 있다.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주변 사람과 거리를 두면서 생긴 사회적 고립감도 큰 문제다. 코로나19는 직장인의 심리상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국경제연 구원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의 1/3은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불가피한 휴직, 급여삭감, 인력 감축 등을 고민... 2021-11-02
  2. 16272 [정선포럼 2021]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 미래의 핵심가치 세계적으로 그린 뉴딜과 그에 따른 기후대책이 발표됨에 따라 환경문제가 경영환경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그에 맞춰 기업은 생산구조와 경영철학에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담고 있다. 이를 통찰한 강원도와 정선군, 재단법인 강원도 관광재단은 지난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탄소중립을 중점으로 ‘지속가능한 지구환경’과 ‘미래의 핵심... 2021-09-02
  3. 16273 [안성진 교수] 올바른 관계 맺기로 실현하는 AI와의 협력 우리는 미래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 그래서 인공지능을 두려운 존재나 경쟁해야 하는 상대로 인식하기보다는 인간의 부족한 면을 보완해주는 동반자라고 생각하며 인공지능과 올바른 관계를 맺어야 한다.인간과 함께 일하면서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이 되려면, 디지털 양심을 가진 인공지능이어야 한다. 인간은 인공지능... 2021-04-29
  4. 16274 [일생경영학교 나다움] 人生一生 SELF: 자기자신 찾기 세상에 완벽한 인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은 자신이 모르는 것이 무척 많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이러한 솔직함은 다양한 경험 축적을 통한 자아성장으로 이어진다. 또한, 사람은 타인을 스승이라고 생각하며, 그들의 일과 삶을 보며 거울로 삼는 이인위감以人爲鑑 의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세상은 자기 혼자만으로 이뤄져 ... 2021-04-29
  5. 16275 [이재원 교수] 인력다양성 실현을 위한 팀과 감정 학자들과 조직 관리자들은 종종 감성이 이성의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왔다. 조직 관리자들은 감정을 주관적이며 즉흥적인 것으로 생각했으며, 객관적이며 질서정연한 수단을 제공하는 이성의 작동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에 따라 조직 관리자들은 성공적인 조직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억눌러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 2020-12-03
  6. 16276 [일생경영학교 '나다움'] 人生一生: 修身 자신을 안다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며 매우 당연할 일같이 생각된다. 그러나 객관성을 가지고 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가 아는 우리의 모습은 신념, 이념, 편견으로 굴절된 주관적인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아개념을 내재하는 노력은 대단히 중요하다.---자아개념은 자신의 한계... 2020-11-04
  7. 16277 [윤광희 대표] 조직인성을 비롯한 직무역량 및 직무적성 검증의 관상면접기법 사업부 중심의 채용주의가 일반화되고 있다. 그 추세에 따라 팀장급에 의한 역량면접과 경영진에 의한 인성면접에서 관상분석기법 외부전문가를 초빙하고 있다. 그것은 지원자 인성과 적성의 적합도와 함께 직무 및 조직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더욱이 최근에는 AI면접이 확산되며 이와 같은 관상면접기법이 동시에 활용되고 있다. AI... 2020-11-04
  8. 16278 [조성택 교수] 확신確信이라는 무지無知 원효(617~686)는 한국의 대표적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원효가 살았던 7세기 동아시아는 불교의 다양한 학파들이 배타적으로 우위를 경쟁하던 백가쟁명의 시대였다. 원효는 특정 학파의 입장을 지지하거나 배척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서로 ‘다름’의 차이를 긍정하는 화쟁론을 제시했다. 그는 서로 다른 주장들을 대립과 갈등의 관계로 보... 2020-04-29
  9. 16279 [박우성 교수] 직무 안정성을 기반으로 로봇과의 협업역량을 키워야 한다 사람만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장착한 로봇도 기업경영에 매우 중요하다. 실제 인간과 함께 일하는 협업 로봇이 산업 현장에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고 효율적인 사무관리 업무를 위해 개발된 RPA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우수한 인재 확보가 중요한 것처럼 우수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확보도 매우 중요한 시대가 됐다. 산업혁명 이후 기계가 업... 2020-04-29
  10. 16280 [이춘우 교수] 기업가정신은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 정신 기업가정신은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 정신이다. 기업가(entrepreneur) 본연의 역할은 세상을 더 잘 살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다. 기업가라면 물질적 풍요로움뿐만 아니라 정신적 풍요로움도 만들어내야 한다. 한마디로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가치 창출(new value creation)을 추구하는 것으로, 기업가起業家라면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을... 2020-04-29
처음  이전  1621  1622  1623  1624  1625  1626  1627  1628  1629  1630  다음  맨끝
최신뉴스더보기
내부배너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