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COLUMN
-
[김영헌 교수] 코칭, 그리고 코치형리더십
코칭의 정의에 따라 달라지는 코칭의 위력2020년 1학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수업에서 수강생들이 코칭과 코치형리더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코칭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는 무엇인지 질문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도 함께 물었다.일부 답변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신에게 숨어 있는 잠재력을 깨우는 원...
₩1,000
2020-04-29 KHRD
-
[김영규 교수] 불확실성과 네트워크
복잡하고 변화무쌍해서 예측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 기업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와 새로운 아이디어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동시에 길러야 한다. 창의적 사고는 다양한 정보의 연결에서 생겨나며, 아이디어를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소통이 원활하고 서로 신뢰하는 구성원이 모인 팀이 필요...
₩1,000
2020-04-29 KHRD
-
[이영민 교수] 근로시간 단축과 일본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대응 사례
지난 호에서 영국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함께 금융과 문화 컨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산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관련 미래 인재 역량개발을 위해 도제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이번에는 일하는 방식을 개혁하는 법률로 오랜 기간 이어져 내려온 노동 관행을 개선하고, 업무 생산성도 높이고자 하는 일...
₩1,000
2020-04-29 KHRD
-
[박우성 교수] 직무 안정성을 기반으로 로봇과의 협업역량을 키워야 한다
사람만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장착한 로봇도 기업경영에 매우 중요하다. 실제 인간과 함께 일하는 협업 로봇이 산업 현장에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고 효율적인 사무관리 업무를 위해 개발된 RPA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우수한 인재 확보가 중요한 것처럼 우수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확보도 매우 중요한 시대가 됐다. 산업혁명 이후 기계가 업...
₩1,000
2020-04-29 KHRD
-
[이춘우 교수] 기업가정신은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 정신
기업가정신은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 정신이다. 기업가(entrepreneur) 본연의 역할은 세상을 더 잘 살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다. 기업가라면 물질적 풍요로움뿐만 아니라 정신적 풍요로움도 만들어내야 한다. 한마디로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가치 창출(new value creation)을 추구하는 것으로, 기업가起業家라면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을...
₩1,000
2020-04-29 KHRD
-
[이정민 교수] 온라인 학습 시대를 위한 플립러닝과 HRD
위기가 만들어낸 기현상은 때로는 기회가 되기도 하며 변혁의 시초로 작용하기도 한다. 2003년 당시 4개월여 동안 창궐했던 사스는 중국경제에 치명타를 안겼고 중국의 많은 기업이 큰 고통을 겪었다. 특히 알리바바는 내부 구성원이 사스에 감염되며 재택근무체제 도입이라는 위기에 직면했지만, 온라인에서 소통하며 할 수 있는 모든 도전...
₩1,000
2020-04-29 KHRD
-
[유영만 교수] 컨텐츠와 컨테이너: 컨테이너를 바꿔야 컨텐츠도 살아난다
유영만 교수
₩1,000
2020-04-27 KHRD
-
[한상진 상무] 근무환경 변화에 따른대응 방안
한국시세이도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구성원 보호 차원에서 재택근무제 시행을 결정했다. 초기에는 ‘A그룹’과 ‘B그룹’으로 편성하고 2일은 재택근무, 3일은 내근을 시키되, 중요 의사결정을 위해 매주 수요일만은 전 구성원이 출근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러나 어느 한 그룹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조직 전체의 기능이 마비되...
₩1,000
2020-04-02 KHRD
-
[발행인 메시지] 성공이 아닌 성취의 삶
당신이 원했던 인생의 목적지는 어디입니까? 만일 당신이 현재 목적했던 거기에 있다면 당신은 성공한 사람입니다. 그렇지 않고 지금 있는 곳이 당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당신은 아직 성공자는 아닙니다.하지만 그런 경우라 해도 당신이 ‘실패자’라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당신은 아직 당신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했을 ...
무료
2020-04-01 KHRD
-
[이지훈 교수] 당신의 부하직원은 어떤 말을 해도 안전하다고 느낄까?
“글로벌 기업과 우리나라 기업 조직문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같은 지역에 있다고 해서 기업 문화가 다 같은 것이 아니고, 글로벌 기업과 우리 기업을 무 자르듯 잘라 비교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 조직문화에 아쉬운 점이 무엇이냐.” 고 바꾸어 묻는다면 대답이 조금 더 쉬워진다. 대답의 하나는 ‘심리적 ...
₩1,000
2020-04-01 KH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