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COLUMN
-
[송영수 교수] HRD의 전략적 선택과 방향
전 세계의 일상 활동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 학교, 단체, 미팅, 가족모임까지 모든 활동을 마비시킨 코로나19가 인류의 역사를 크게 바꾸어 놓을 거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른바 ‘Corona Pandemic’ 사태 이후 각 국가별 파워가 강화되면서 감시사회가 탄생하고, 글로벌 공급체인의 재편으로 국제 경제의 체계도 달라지고 있다. 연일 계속...
₩1,000
2020-06-02 KHRD
-
[윤광희 대표] 고전 10자 상법相法으로 사람 보는 법
당서唐書 『선거지選擧志』에 의하면 인재를 선발하는 데 표준으로 삼는 네 가지 조건은 신언서판身言書判이다. 신언서판은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면접)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차례로 몸體貌, 말씨言辯, 글씨筆跡, 판단文理 네 가지를 의미한다.그중 사람의 풍채와 용모를 뜻하는 신身은 바로 얼굴을 뜻한다. ...
₩1,000
2020-06-02 KHRD
-
[조성택 교수] 이청득심以聽得心을 실현하는 ‘듣는’ 지혜, 경청傾聽
우리는 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대화가 쉽지 않다는 현실을 늘 경험한다. 꼬인 관계를 풀기 위해 시도했던 대화가 또 다른 갈등을 만드는 경우도 적지 않다. 개인 간의 대화에서만이 아니라 공적 대화라고 할 수 있는 회의에서도 마찬가지다. 구성원 간에 서로 다른 의견을 조율하고 현안에 대한 더 지혜로운 결론을 끌어내...
₩1,000
2020-06-02 KHRD
-
[김창래 교수] 삶에 대하여
사람은 태어나자마자 이미 죽기에 충분히 이르다는 말이 있다. 죽음이 언제 우리를 찾아올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 올 것 같지 않은 삶의 끝은 분명히 온다. 바로 이 사이, 탄생과 죽음으로 한정된 시간이 우리의 ‘삶’이다. 누구나 이 시간은 소중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누구나 이 시간을 소중하게 사용하는것은 아니다. 이 시간을 무엇으...
₩1,000
2020-06-02 KHRD
-
[박우성 교수] 인사 부서를 창의성 부서로 개명하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는 구성원들의 통찰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현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창의성이야말로 인간의 역량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기계가 더 잘할 수 있는 영역에서 기계와 일거리를 두고 다투는 것은 처음부터 지고 들어가는 싸움이다. 창의성은 새롭게 문제를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를 ...
₩1,000
2020-06-02 KHRD
-
[박선웅 교수] 성취할 것인가, 성장할 것인가
기업의 HR 패러다임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언급한 변화는 최근 일어나고 있는 두 가지 사건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우선 수시채용제도의 활성화이다. 지난 2019년 현대·기아차가 정기채용제도를 폐지하고 수시채용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SK와 하나은행이 그 뒤를 이었다. 두 번째는 신입직원들의 조기퇴사 현상이다. 한국경영자총...
₩1,000
2020-06-02 KHRD
-
[이춘우 교수] 기업가정신은 솔선수범 책임정신
세계는 대한민국을 ‘2차 세계대전 이후 선진국으로 올라선 유일한 나라’ 또는 ‘초고속 경제성장이라는 기적을 만들어 낸 나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의 원동력은 대부분의 사람이 하지 않으려는 위험을 내포한 비즈니스 창업과 경영에서 솔선수범과 책임정신을 발휘한 기업가에게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이론 석학들은...
₩1,000
2020-06-02 KHRD
-
[김영규 교수] 유사성, 친밀감,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며 부서 간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네트워크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구성원들의 원활한 소통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기업에서는 조직구조와 조직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 간에 일어나고 있는 실제 소통의 흐름이 좁은 세상 네트...
₩1,000
2020-06-02 KHRD
-
[황금중 교수] 마음챙김 기반 학습: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흔히 교육은 전인全人을 기르는 일을 이상으로 삼는데, 전인이란 지智와 덕德과 체體의 요소를 모두 골고루 잘 갖춘 사람을 이른다. 심리학에서는 이 세 가지를 각각 인지적, 정의적, 신체적 차원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이 세 차원을 균형 있게 담아내는 일은 교육과정 구성의 핵심 고려사항이기도 하다. 이는 주로 학교교육을 논할 때 강조...
₩1,000
2020-06-02 KHRD
-
[탁진국 교수] 관리자들의 리더십 향상을 위해 코칭리더십을 활용하자
코칭은 인생, 경력, 비즈니스, 조직에서 탁월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속적이면서 전문적인 코치와 고객의 관계를 말한다. 이러한 코칭은 삶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도 인정받고 있다. 특히 기업은 코칭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비즈니스 코칭이 탄생했다. 기업에서 비즈니스 코칭을 시...
₩1,000
2020-06-02 KH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