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COLUMN
-
[박우성 교수] HR 부서의 영원한 화두, 동기부여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야 하는 인간에게 창의성이 필수적이라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창의성은 이미 인공지능도 발휘하고 있다. 실제 인공지능은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사람의 인식이나 지능으로 찾아내기 어려운 새로운 관점이나 발견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다면 진정 사람이 사람다운 이유는 무...
무료
2020-07-03 KHRD
-
[박선웅 교수] 결핍동기 vs. 성장동기
이 글을 읽는 독자라면 매슬로의 5단계 욕구이론에 대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보통 피라미드 모양의 삼각형과 함께 제시되는 이 이론은 인간의 욕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한다. 사람들은 숨 막힘, 목마름, 배고픔 등을 해소하고자 하는 생리적 욕구의 충족을 가장 우선시하고, 그 뒤를이어 안전, 소속, 존경, 자기실현의 욕구...
₩1,000
2020-07-03 KHRD
-
[김영규 교수] 소통과 협력을 위한 비대면 작업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의 영향으로 비대면 작업환경이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그러나 코로나 이전에는 그 어느 때보다 작업공간의 장벽을 없애고 대면 접촉을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었다. 그 이유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이 교류되면 이를 통해 빠르게 시장에서 기회를 파악하고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1,000
2020-07-03 KHRD
-
[탁진국 교수] 강점 활용을 통한 행동변화
직장에서 본인 또는 구성원의 행동변화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기업은 구성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매진한다. 이를 위해 수많은 예산이 투입될 때도 있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는 참가했던 구성원의 행동이 변화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교육 프로그램이 많은 도...
₩1,000
2020-07-03 KHRD
-
[황금중 교수] 나의 경영과 천하 경영을 꿰뚫는 심법心法, 마음챙김
마음챙김(mindfulness)이 사람들 각자의 삶을 안팎으로 건실하게 돌보는 기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이제 널리 공감을 얻는다. 그런데 사람들이 함께하는 크고 작은 공동체 및 조직의 경영을 이끄는 핵심 요인이 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생각이 충분히 미치지 못한다. 마음챙김은 개개인의 삶의 경영의 축일 뿐 아니라 천하天下 경영의 축이 될만하...
₩1,000
2020-07-03 KHRD
-
[유영만 교수] 정상과 비정상: 정상頂上에 간 사람은 정상正常이 아니다
정상에 오른 사람은 비정상이다. 높이뛰기를 예로 들면 정상적인 높이뛰기 선수는 모두 앞으로 넘었다. 그러나 앞으로 넘는 사람들은 2m를 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다. 모든 정상적인 높이뛰기 선수는 앞으로 넘는 방식을 통해 인간의 한계라고 생각했던 2m 벽을 넘으려고 했지만 ...
₩1,000
2020-06-30 KHRD
-
[일생경영학교 '나다움'] 人生一生: 정심正心
말의 놀라운 힘신기하게도 말에는 고유한 힘이 있다.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말 속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며 언령言靈이라고 표현한다.사실 평소 아무 의미 없이 내뱉는 말버릇에 주의를 기울이고 긍정적인 단어를사용하도록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많은것이 변화한다. 말버릇은 일종의 자기암시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하는 말은 뇌를 통해 ...
무료
2020-06-03 KHRD
-
[발행인 메시지] 품격 있는 삶
품격이란 사람 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을 뜻하는 말로서 요즘 우리 사회에서 가장 많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상품에도 상품, 중품, 하품이라는 등급이 있듯이 인간의 윤리· 도덕적인 측면에서 인품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물건이나 상품은 개체적 존재로 끝나지만 인간은 유기적이고 관계적인 존재입니다. 따라서 한 개인의 행동이 다른 누...
무료
2020-06-02 KHRD
-
[김정호 교수] 팬데믹 이후 인간의 삶과 마음공부
이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사태는 중국에서 시작되었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지구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무엇보다 많은 인명 피해를 주고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대다수 사람들 역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일상이 크게 제약받고 있다.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고 나면 인간의 ...
₩1,000
2020-06-02 KHRD
-
[박수홍 교수] 코로나19의 위기를 HRD 산업 혁신의 기회로
미래학자 피터 드러커는 1998년 기고문에서 30년 후 지금과 같은 대학 캠퍼스는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어쩌면 지금 코로나19 사태가 그 예측을 당길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는 전대미문의 사회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업은 말할 것도 없으며, 대학에서의 변화 또한 거세다. 코로나19 위기에서 대학에서 시...
₩1,000
2020-06-02 KH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