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COLUMN
-
[장재윤 교수] 코로나 시대 직장 내 인간관계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사람들 간의 교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감염의 위험으로 사람들을 편하게 만나지 못하고, 비대면으로 교류해야 한다는 점이 계속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10명 중 4명이 친구나 직장동료들과의 관계가 멀어졌다고 한다. 대면 상호작용이 줄어들면서 우울증과 무기력...
₩1,500
2020-12-30 KHRD
-
[진규동 소장] 시련과 고난 속에 엮은 ‘다산학’
용(다산)이 해상(강진)으로 유배되어 가서 생각하기를 ‘소싯적에는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20년 동안 세로世路에 빠져 다시 선왕先王의 대도大道가 있는 줄을 알지 못하였는데 지금 여가를 얻게 되었다’하고 드디어 흔연히 스스로 경하하였다.그리하여 육경六經과 사서四書를 가져다가 침잠沈潛하여 탐구하고, 중국의 한위漢魏 이래로 명...
₩1,500
2020-12-30 KHRD
-
[최동원 교수] 위기를 기회로! 비전 형성과 소통의 리더십
코로나19로 말미암아 세계의 지도자들은 리더십의 시험대에 올랐고 분석 대상이 됐다. 그러나 리더십의 효과성은 ‘스타일’의 차이와 우열보다는 리더의 ‘센스메이킹’ 과정에 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 상황에서 리더는 냉정하고 정확하게 현실을 파악해야 하고, 현실에 기반해서 실현 가능한 비전을 수립해야 하며, 비전의 실현 가능...
₩1,500
2020-12-30 KHRD
-
[오석영 교수] 성찰적 침묵 찾아내기: 소통을 통한 전의식적 앎의 활용
일터에서의 학습은 다양한 성찰 행동을 수반한다. 성찰 과정에서 직관적 판단이 작동하기도 하고 상황을 통찰하기 위한 경험과 시간이 요구되기도 한다. 또한, 잠재된 감정과 생각을 의식으로 전환시키려는 전의식적 앎의 과정도 포함된다. 따라서 성찰 과정은 간헐적 또는 장기간의 침묵 행동을 수반한다. 이를 이해하고 기다려 주는 주변...
₩1,500
2020-12-30 KHRD
-
[배보경 교수] COVID-19와 DT 시대에 성공적인 동기부여 사례는?
작년 12월 14일 CNN의 State of the Union 프로그램에 출연한 빌 게이츠 MS 창업자는 백신이 개발됐지만 팬데믹은 약 12개월 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0년을 버텨온 것도 쉽지 않았는데 앞으로 1년은 더 기다려야 하니 그야말로 암울한 상황이다. 팬데믹 시대에서 살아남고 또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에 처...
₩1,500
2020-12-30 KHRD
-
[정신희 교수] 재택근무,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
말끔한 상의에 하의는 파자마. 팬데믹 시대에 집에서 화상 회의에 임하는 직장인들의 새로운 드레스 코드다. 미국 내 몇몇 교육기관은 원격 미팅 시 침대나 식탁 위에서 참여 금지, 카메라 켜기, 파자마 금지 등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규율들마저 정하고 있다. 사실 재택근무라는 개념은 1970년도에 일찍이 등장하였으나, 오늘날에 이르기까...
₩1,500
2020-12-30 KHRD
-
[발행인 메시지] HRD 뉴노멀, 인재에서 ‘공유’ 패러다임으로
금년도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회인 HRD KOREA 2020을 정리하면서 이번 대회에 나타난 이슈와 변화는 무엇이었을까를 생각해 봅니다. 1993년에 시작되어 올해까지 진행된 HRD KOREA 대회는 매년 3월에 열리던 것을 11월로 연기해서 HRD 컨퍼런스, HRD 엑스포는 온택트로, HRD 어워드는 예년처럼 집합으로 기획되어 총 2주간 8일에 걸쳐서 진행되었...
무료
2020-12-03 KHRD
-
[일생경영학교 '나다움'] 人生一生: 정심正心
스트레스라는 용어는 15세기경에 생겨났다. 처음에는 ‘물리적 긴장이나 압박’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18세기경부터는 ‘고난, 역경’ 또는 ‘불운’의 뜻으로 사용되었고,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신체 기관이나 정신에 가해지는 압박’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그리고 1910년경 레드나드라는 의학자는 “인체의 내부환경이 외부환경...
무료
2020-12-03 KHRD
-
[황금중 교수] 건강한 일과 삶을 위한 마음챙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 상황은 인류의 역사 전체를 놓고 볼 때에도 손꼽힐 만한 큰 사건이다. 코로나로 인해 전 지구적으로 모든 일과 삶이 바뀌거나 멈추었다. 당연하게만 여겼던 많은 삶의 습관들과 일의 패턴들을 돌아보고 조정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우리는 자신의 일과 삶의 일상을 돌아보며 가끔 이게 아니다 싶을 때 이런저런...
₩1,000
2020-12-03 KHRD
-
[정명호 교수] 팬데믹을 야기한 코로나 시대의 몰입관리
코로나 팬데믹은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과 내용 모두를 크게 바꿔놓았다. 대부분의 기업이 재택근무를 일상화하고 비대면 업무의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줌(Zoom)을 비롯한 비대면 소통과 슬랙(Slack), 워크데이(Workday) 등 협업도구를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 주었는가? 가장 확실한...
₩1,000
2020-12-03 KH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