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SPECIAL REPORT
-
PEOPLE FINDER l 최돈민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회장
“평생교육의 이념은 동반성장입니다. 오늘날 세대간 · 지역간 갈등 등 복잡한 개인적·사회적 갈등에 대한 해법도 평생교육에 숨어있습니다.” 최돈민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회장의 말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사회 갈등은 OECD 34개 국가 중 27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며 이로 인한 사회적비용 지출은 GDP의 27%인 300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최 회장은 평생교육 전문가의 눈으로 현 사회 문제를 교육 시스템과 연관해서 바라보며, 심도 깊은 혜안을 제시했다.
₩3,000
2015-11-01 PEOPLE FINDER l 최돈민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회장
-
사람을 중심으로 시대의 패러다임을 따라가다
“누구나 환영하는 따뜻한 문화를 창조하는 것, 용기를 가지고 현재 상태에 대해서 도전하자, 항상 투명성을 유지하자, 어떤 일을 하던지 간에 최선을 다하고 괄목할만한 성과를 끌어내자, 이러한 성과들은 모두 휴머니티에 기반해야 한다.” 권용범 스타벅스 아카데미 학장이 자사의 인재상에 대해 설명한 말이다. 그러면서 권 학장은 평소 이석구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대표로부터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하고, 현장에서 문제를 찾으라는 말을 새겨들어, 사람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답을 찾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3,000
2015-11-01 CHO l 권용범 스타벅스 아카데미 학장
-
HRDer 세상에 가치를 더하다
10여 년간 국내 통신시장의 점유율을 50% 이상 차지한 SK텔레콤. 급변하는 통신시장 속에서 선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SK텔레콤의 비결은 어디에 있는지 기자가 현장을 찾아갔다.
₩3,000
2015-11-01 HRD STAFF l 이호민 SK텔레콤 인재개발원 팀장
-
나만의 KO 펀치가 필요하다
테너 조용갑 성악가는 과거 ‘자신의 꿈을 알기 위해 휴학서를 제출하고 유럽으로 배낭여행을 왔다’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인용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는 주변 사람들에게 떠밀려 정말 내가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본인이 진정으로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 깨닫고 자신만의 KO 펀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3,000
2015-11-01 Focus | 테너 조용갑 성악가
-
HRD전문인력 양성 대학원 분석
디지털 매체의 변화로 대학도 큰 격동기를 겪고 있다. 온라인 대중공개 강좌 무크(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를 통해 하버드와 스탠퍼드대와 같은 명문대의 강좌를 들을 수 있게 되며, 학습방법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이제는 언제, 어디서든 명문대의 학위를 받을 수 있고, 학습할 길이 열렸다. 이 때문에 어떤 미래학자는 앞으로 대학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HRD협회장 엄준하 박사는 “예전보다 대학에서 성인교육인 HRD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며, “이것은 학습매체가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제언한다. 본지에서는 대한민국 대학원에 있는 HRD전공 석·박사 과정을 중점으로 현황을 분석했다.
₩3,000
2015-11-01 SPECIAL REPORT | HRD전문인력 양성 대학원 분석
-
HRD는 생의 연장선
인적자원개발(이하 HRD) 학과가 우리나라에 처음 만들어진 곳이 바로 연세대학교다. 그리고 이 학과를 세운 이가 바로 한준상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명예교수. HRD전문가조차도 존경하는 HRD의 원로, 한준상 교수를 만나 사람과 HRD를 통찰하는 혜안을 들어봤다.
₩3,000
2015-10-01 SPECIAL INTERVIEW | 권대봉
-
시스템보다는 사람이 우선이다
“야~ 연예인! TV에 나오면 우리한테 말 좀 하라고!” 다음소프트 직원 가운데 한명이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에게 말을 건넨다. 이처럼 회사 내에서 일반직원이 부사장에게 친구 대하듯 말을 건네는 것은 그리 흔한 현상이 아니다. 그러나 송 부사장은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며, 그들에게 동화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3,000
2015-10-01 SPECIAL INTERVIEW | 송길영
-
건강전도사, 우리 사회에 건강을 남기다
올해로 45세인 아놀드 홍 대표는 뉴욕 시민들에게 무료로 수돗물을 제공한 록펠러를 좋아한다고 말했다. 이에 홍 대표 또한 우리 사회에 건강을 남기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 수익의 99%를 기부하고 1%의 삶을 살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기자가 홍 대표가 있는 아놀드 홍 GYM 신림지점을 방문했다.
₩3,000
2015-10-01 Focus | 아놀드 홍 대표
-
사람이 제일이다
김진용 CJ 인재원 상무는 기업을 움직이고 좌지우지 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라며 사람이 제일이라는 철학은 HRD담당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에 기자는 사람을 중시하는 김 상무의 이야기를 전해 듣고자 현장을 찾아갔다.
₩3,000
2015-10-01 CHO | 김진용 CJ 인재원 상무
-
사람 중심 신뢰경영
경영 환경 안에서 신뢰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정작 그 개념은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이며 설명하기도 어렵다. 한국 경영에서는 특히 더욱 한계가 분명히 드러난다. 신동엽 연세대학교 교수는 <신뢰기반 조직경영: 그 가능성과 한계>라는 논문에서 한국 기업에서 신뢰문제는 아주 완곡하게 나타나거나 상징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한국에서도 ‘신뢰경영’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점차 경영환경을 선진적으로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올해 2월 인도에서 열린 GPTW® 아시아 콘퍼런스 중 Best Workplaces in Asia, 2015 시상식에서 신한은행과 롯데백화점 등 11개 국내 기업이 신뢰경영지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GWP(Great Workplace)로 선정된 것도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것이다.
₩3,000
2015-10-01 SPECIAL REPORT | 사람 중심 신뢰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