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SPECIAL REPORT
-
[SPECIAL REPORT PARTⅡ] 핵심인재를 중시하는 우수기업 조명
핵심인재는 기업의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인재로 구체적으로는 기업의 핵심역량을 형성, 유지, 발전하는 데 관여하는 주요 구성원이다. 현재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의 발전으로 기업은 점점 핵심인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핵심인재 경영론에 따르면 핵심인재가 천 명, 만 명을 먹여 살린다는 인식하에 소수 인재를 각별히 육성한다.
이를테면 삼성은 조직구성원을 H급, S급, A급 등으로 분류하여 인재를 관리하고 있다. ‘high potential’의 약자인 H급은 우수한 잠재역량을 갖춘 사원들을 분류한 그룹이다. 아울러 ‘super’를 뜻하는 S급은 천재로서 차세대 CEO 후보군으로 회사의 CEO가 관심을 둘 만한 인재이며, A급은 S급에는 미치지 못하나 잘 육성하면 CEO나 임원계층으로 승진이 가능한 후보군을 지칭한다.
여타 기업 역시 세대나 직급으로 인재층을 구분해 선발한 후 역할에 걸맞은 목표를 갖고서 HRD를 실행한다. 이제 소개할 LS, 롯데, SPC, 알리안츠생명 역시 마찬가지다.
LS의 경우, 전체 그룹 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Solution Leader Program이 있다. 또한 장기 핵심인재 육성을 위해 각사 선발인원을 대상으로 LS MBA와 Techno MBA를 운영하며, LS의 고유한 임원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임원후보로서 요구되는 사업수행, 조직관리역량, 리더십개발을 주요내용으로 Leadership Challenge Program이 진행된다.
SPC그룹의 핵심인재는 사원-대리급의 ‘Junior 핵심인재’, 과장-차장급의 ‘Senior 핵심인재’, 부장급의 ‘예비경영자 후보’로 구분된다. 각 단계별 핵심인재는 각사 인사팀을 통해 구성원의 일정부분에 해당되는 인원만큼 선발한 후, 그룹 사장단 회의에서 최종 Review를 거쳐 확정한다. 선발 기준은 단계별로 다소 상이한 기준을 갖고 있다.
롯데는 크로스형 인재육성 모델을 바탕으로 차세대 핵심 리더를 육성하고 있다. 직무전문가 육성을 위한 직무 스쿨과정과 산업전문가 육성을 위한 EMBA 과정, 그리고 예비 CEO를 육성한다는 목표 하의 SEMBA 과정은 고무적으로 평가된다.
[기사 전문은 e-book을 이용해주세요]
₩3,000
2017-06-01 관리자
-
핵심인재육성 전략과 방향
핵심인재란 조직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며 조직의 미래성과를 책임질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원을 일컫는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 그 같은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기업들은 다방면에서 인재관리와 인재교육에 열성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핵심인재에 대한 연구도 조직의 특성과 경영환경과 전략에 따라 다각도로 변화하고 있다.
₩3,000
2017-06-01 SPECIAL REPORT│
-
핵심인재교육 우수기업 사례
제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기술의 발달로 미래는 변혁의 소용돌이에 있다. 기업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며 생존을 위한 사고를 거듭한다. 그렇다면 전략적 HRD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그중에 핵심인재는 중요한 키워드다. 실제로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수많은 기업이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 따라서 LS, SPC, 롯데, 알리안츠생명보험을 통해 밀레니얼세대를 아우르는 핵심인재교육 사례에 대해 점검하려 한다.
₩3,000
2017-06-01 SPECIAL REPORTⅡ
-
HRDer의 소명과 진심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항공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사람중심의 인재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인재개발원에서는 해외 경쟁공항 및 초일류기업들의 교육시설 벤치마킹을 통해 세계 최고의 HR Academy로 발전하기 위한 준비를 해왔으며, 4만 여 공항가족들이 최선을 다한 결과 12년 연속 세계 최고의 서비스 공항으로 선정되는 영예도 얻기도 했다. 이같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인재경영 중심에는 윤한영 항공교육팀장이 자리하고 있다.
₩3,000
2017-06-01 HRD STAFF│윤한영 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교육팀 팀장
-
HRD Trend Leader
구글은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통해 성장한 이 시대를 대표하는 기업이다. 페이지랭크라는 독자적인 검색 알고리즘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이 되고, 크롬과 유튜브를 비롯해 다양한 서비스로 전 세계 수많은 사용자들을 만나고 있다.
실로 급변하는 환경을 예측하기 무척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글은 인재를 중심으로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따라서 누구보다 구성원을 존중하며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 민혜경 구글 코리아 인사총괄을 만나 구글의 HRD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3,000
2017-06-01 CHO│민혜경 구글 코리아 인사총괄
-
몰입으로 창의와 융합의 역사를 다시 쓰다
“중력의 법칙을 어떻게 발견했느냐는 질문에 뉴턴은 ‘한 가지만을, 그것 한 가지만을 생각했다’고 대답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또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99번은 틀리고 100번째가 되어서야 비로소 맞는 답을 찾아낸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뉴튼과 아인슈타인의 몰입. 황농문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는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나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역시 몰입적 사고를 통해 혁신적 아이디어를 실현했다고 얘기했다. 실상 황 교수 또한 몰입으로 기존의 지식을 뒤집고 다이아몬드 생성 메커니즘을 새로이 규명해 세계의 학계에 뜨거운 반향을 일으켰다.
₩3,000
2017-06-01 FOCUS│황농문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
[SPECIAL REPORT] ING생명_탁월한 몰입도로 회사 성장을 주도하다
올해로 설립 30주년을 맞는 ING생명은 2013년에 네덜란드 ING그룹에서 분리되어 국내법인으로 전환된 이후, 임직원 몰입도 향상과 성과중심 조직문화를 정착시켜 매년 큰 폭의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ING생명은 2016년 연말기준 자산규모 30조원을 돌파했으며, 특히 주목할 부분은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회사의 성과가 임직원의 몰입도 향상과 비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ING생명은 ‘수평적인 소통’, ‘일과 삶의 균형’, ‘높은 업무 몰입도’, ‘인정과 보상’을 조직문화 주요전략으로 추진함으로써 회사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변화와 혁신의 성공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
변화와 혁신을 위한 소통 강화
ING생명은 국내법인으로 전환 이후 직원들이 조직변화에 자발적이고, 혁신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매년 전 직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고 있다.
그중 직원들의 자발적 변화와 혁신을 지향하는 변화관리 워크숍은 2017년 ‘행복한 혁신’이라는 주제로 직원들 간 소통과 상호 이해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CEO와의 톡톡타임’도 주목할 만하다. 매월 사무실을 벗어난 자유로운 장소에서 진행되는 CEO와의 톡톡타임은 CEO와 직원들의 쌍방향 소통창구로써 회사의 전략과 비전을 CEO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직원들의 창의적 사고(Think out of Box) 및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지원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의 다양한 경험을 들을 수 있는 ‘리더십 포럼’ 역시 분기별로 시행되고 있다.
일과 삶의 균형 지원
일과 삶의 균형은 직원들의 업무 태도와 몰입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ING생명은 균형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첫째로 ‘Power Nap 제도’ 즉 낮잠 자는 제도이다. 사무실 소등과 함께 클래식 음악이 흘러나오는 오후 20분의 꿀맛 같은 휴식은 육체적‧정신적 피로를 해소시켜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증진시킨다.
둘째는 ‘PC-OFF 제도’로 ‘얼마나 오랫동안 일했는가?’보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일했는가?’를 강조하는 ING생명의 조직문화 전략에 따라 직원들의 PC는 오후 7시가 되면 자동으로 종료돼 불필요한 야근을 줄이고 ‘저녁이 있는 삶’을 지원한다.
셋째는 ‘집중 업무시간 운영’이다. ‘9:30~11:00’과 ‘14:30~15:30’으로 규정된 집중 업무시간에는 회의 및 전화, 이석을 자제하고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기사 전문은 e-book을 이용해주세요]
₩3,000
2017-05-02 관리자
-
[SPECIAL REPORT] 현대모비스_Work SMART로 즐거운 일터를 구현하다
과거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로 필요했던 현대모비스 구성원들의 행동 양식은 신속하고 강력한 추진력을 기반으로 한 일사불란함이었다. 그러나 ‘글로벌 Top Tier’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변화가 요구되며, 그중 기업문화와 같은 내면적 변화가 절실하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과거의 성공 방식에서 벗어나 미래의 성공 방식을 도입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그동안 경쟁사들보다 더 열심히 일하는 ‘Work Hard’ 기업문화를 통해 초고속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경기 침체의 장기화와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에서는 게임의 룰을 바꿔버리는 창의성과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보다 민첩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이에 발맞춰 기업문화 또한 일하는 방식의 효율성, 유연함, 창의성을 중시하는 ‘Work SMART’를 기반으로 변화를 추진 중이다.
조직몰입을 향상하는 기업문화의 실현
현대모비스는 임직원들이 불필요한 시간낭비 없이 본연의 핵심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최고의 제품을 만들고자 제품개발 및 생산단계의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무관리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업무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회의, 문서작성, 업무지시/수행, 보고/결재, 협업의 다섯 가지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서 업무수행 표준 가이드를 수립하였다. 그리고 전사적인 팀 단위 스마트미팅 변화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각 팀 단위로 실제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수행방식을 창의적/효율적으로 최적화하고자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Work SMART 사무환경 IT인프라 구축을 통해 전세계 임직원들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하나의 화면을 보며, 같은 생각을 하며, 효율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스템적 협업을 제공하고 있다. 회의문서 사전 출력이나 보고서 작성시 버전별로 출력하던 관행들은 사무관리혁신을 통해 자료를 효율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종이 출력비용도 절감하고,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의사결정의 속도도 더욱 증가시켰다.
아울러 매주 수요일은 가정의 날을 시행하여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일하며 저녁은 가족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문화를 만들며, 매주 금요일은 캐주얼데이 시행을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기업문화를 형성하며 조직에 역동성을 불어넣고 직원들은 활기찬 주말을 보내고 있다.
이 밖에 리프레쉬 휴가를 통해 전 직원이 연간 스케줄을 미리 잡아서 여름휴가 기간 외에도 2주간 쉴 수 있도록 하여 충분히 쉬면서 효율적으로 일하는 문화도 만들고 있다.
임직원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업무효율성 저하를 적극 방지하고자 사내 전문상담센터 힐링샘도 운영하고 있다.
[기사 전문은 e-book을 이용해주세요]
₩3,000
2017-05-02 관리자
-
[SPECIAL REPORTⅠ] 업무몰입으로 ‘차원이 다른 고객인식 1등’을 실현하다
고객 최우선 경영이라는 최대 가치를 기반으로 고객행복을 실현하는 기업, 케이티스는 KT 고객센터 운영과 유·무선 통신상품 유통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대한민국 NO.1 고객서비스 기업이다.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콜센터 품질지수 1위를 차지한 케이티스는 ‘2017년 차원이 다른 고객인식 1등’을 비전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있다.
케이티스의 그러한 선도적인 경쟁력은 조직을 활성화하는 전략적인 HRD가 한몫한다. 2017년에도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케이티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업무 몰입도를 제고한다.
원활한 직책 수행을 위한 역량강화
케이티스는 `17년 시장경기 사전 대응을 위해 리더십 역량의 집중적인 육성을 계획했다. 그 일환으로 현장 직책자와 본사 직책자를 구분해 업무 몰입을 향상을 위한 1박 2일 과정의 ‘리더십 캠프’가 운영되고 있다.
리더십 캠프는 리더십 역량 상승과 세일즈 역량 확보를 위해 일원화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 몰입도 및 효과성 증대 차원에서 사외 연수시설을 활용해 합숙과정으로 운영 중이다.
실제 업무환경과 유사한 역량개발
케이티스의 경영지원직무 수행자 필수교육 역시 업무 몰입에 실효성이 높다. 경영지원직무 수행자 필수교육은 수행역할에 따른 개발역량을 집중 강화하고, 직무수행을 위한 행동변화에 초점을 맞춰 성과창출을 지원한다.
본 프로그램은 역량이 충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직무 상황과 유사한 과제를 적용하고, 개인역량진단을 통해 효과측정 및 결과보고로 레프런스를 제공한다. 주요 개발역량으로는 갈등관리와 코칭, 목표실행과 협상력, 업무개선과 대인관계, 기획분석과 소통 등이 있다.
한편, 올해 경영지원직무 수행자 필수교육은 Flipped Learning으로 진행하기 위해 추진 중이다.
[기사 전문은 e-book을 이용해주세요]
₩3,000
2017-05-02 관리자
-
[SPECIAL REPORTⅠ] 체계적 리더십으로 ‘Soft Factors’를 제고하다
1973년 제일종축을 모태로 시작한 ㈜선진(총괄사장 이범권)은 지난 43년간 양돈을 비롯해 사료, 식육, 육가공 및 유통에 이르는 사업체제를 갖춘 축산전문기업이다. 83년부터 꾸준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기후풍토에 잘 적응하고 한국인의 입 맛에 맞는 국내 최초 한국형 종돈을 개량해 냈으며, 1992년에는 국내 최초 브랜드돈육 1호 ‘선진포크’를 출시, 뛰어난 맛 과 품질로 20년 이상 소비자들의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97년부터는 필리핀을 시작으로 베트남, 중국, 미얀마 총 4개국으로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며 대한민국의 우수한 축산기술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고 있다.
최근 많은 기업에서는 구성원의 업무 몰입도 향상을 위해 인 사관리 측면에서 新문화 및 인사제도를 기획하거나 HRD 측 면에서 과정개발을 하는 등 다각적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러한 배경은 구성원의 몰입도 수준에 따라 이직률, 불량률 등 다양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Hay Group에서는 기업의 전략이 성과로 나타나기 위해 조 직내부의 Soft Factors(리더십, 인사제도, 문화)와 Hard Factors(경영관리, 업무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이 필수적이 라고 밝혔다. 특히 Soft Factors는 직원몰입에 직접적 영향 을 미침으로써 성과달성을 좌우하게 되는 결정적인 요소이 기 때문에 관리자의 리더 십 교육, 新문화 창조 활 동 등을 지속적으로 해나 가야 한다. 특히 구성원의 업무몰입은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이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관 리자는 명확한 업무지시와 방향설정, 부서 이기주의 가 아닌 품질과 고객관점 의 사고, 구성원의 육성기 회 제공, 존중과 인정 등 다양한 ‘Soft Factor’들로 구성원의 업무몰입을 유도 해야 한다.
이에 선진은 조직의 업무 몰입도 향상을 위해 관리자 리더십 진단과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2년 여에 걸쳐 관리자를 위한 ‘조직장 리더십’ 교육을 실시했다. 관리자는 Performance Management와 People Management 를 조직장 리더십의 2개 축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먼저, 조직장악에서는 조직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재조명 하고, 조직관리 & 장악에 필요한 다양한 스킬 학습을 실시 한다. 이를 통해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여 조 직을 리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하육성 및 성과관리에서는 직무전문가 프로파일 작 성을 통해 장기적인 부하육성의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질문, 피드백 기법, 동기부여을 통하여 팀원들의 업 무수행 및 몰입도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조직장으로서 상사, 동료, 부하, 유관 부서 등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전략을 통해 변화를 독려한다.
아울러 전략적 의사결정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 서의 기회요소와 이슈의 영향력이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 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사 전문은 e-book북을 이용해주세요]
₩3,000
2017-05-02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