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메뉴 닫기
ISSUE
-
[사람경영포럼] 변치 않는 답, 기업의 경쟁력은 사람이다
생성형 AI는 업무 도구를 넘어, 사람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 인식 전환은 기업의 인재관과 조직문화의 근본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마이다스그룹은 지난 4월 11일, ‘생성형 AI 시대, 사람경영의 본질과 HR의 혁신’을 주제로 「2025 사람경영포럼」을 개최했는데 인간 정체성 탐구를 통해 채용, 육성, 조직문화 등 경...
-
[도전과나눔 기업가정신 포럼] 현대사회에 통용되는 리더십의 모습을 보다
리더는 어떤 상황에서든 설득과 조율을 넘어 최적의 의사결정을 해내며 조직, 사회, 국가가 더 나은 내일을 맞도록 해야 하는 존재다. 이런 리더의 역량은 VUCA를 넘어 ‘초VUCA’로 표현되는 작금의 시대에서 어떻게 달라지고 있을까. 이와 관련해서 지난 4월 23일 도전과나눔이 개최한 「기업가정신포럼」은 흥미로운 통찰을 던져준 자리였다...
-
[KPC 인문학 여행 통찰과 영감] 새로운 문명의 이기를 학습하라
지난 3월 28일 한국생산성본부(KPC)는 조찬 포럼 「KPC 인문학 여행 통찰과 영감」을 개최했다. 강연자는 ‘AI 사피엔스 시대 생존 전략’을 다룬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교수였다. 그는 ‘AI 혁명의 시작’, ‘세계관을 전환하라’, ‘팬덤을 창조하라’ 순으로 강연을 펼쳤는데 AI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인류 ‘AI 사피엔스’가 살아가는 시대를 ...
SPECIAL REPORT
-
팀십(Teamship)
세상에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안에는 목적과 목표가 같지만 세부 역할이 다른 다양한 조직이, 밖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하는 회사에선 더욱 그렇다. 그래서 주목해야 하는 것이 ‘팀(Team)’, 그 팀의 성공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이자 행동인 ‘팀십(Teamship)’이다.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로 다가갈...
-
사내 인스트럭터 육성 전략과 활용 사례
직무수행능력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기에 HRD에선 계속해서 ‘스킬 기반 러닝’이 강조되고 있다. HRD스탭들이 이런 흐름에 대응하려면 사내의 전문가들을 뛰어난 인스트럭터(강사)로 육성해서 활용해야 한다. 이들은 특화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기업에서 특화된 전문성을 갖췄기에 교육을 기획해서 강의를 ...
-
성과를 위한 지식작업자의 다섯 가지 핵심역량
정보화 사회를 넘어 디지털·AI 시대가 펼쳐진 지금, 기업의 모든 구성원은 수많은 정보, 지식, 기술을 업무에 올바로 사용하고, 그로써 생산성을 발휘하는 ‘일 잘하는 지식작업자’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려면 피터 드러커가 짚어준, 성과 창출의 기반이자 누구든 배울 수 있는 ‘다섯 가지 핵심역량(시간관리, 기여, 강점활용, 우선순위 결...
PRACTICE
-
[김동현 티오더 HR총괄] 온보딩은 사라졌다. 이후, 우리는 무엇을 설계해야 하는가
지금도 많은 스타트업은 ‘온보딩’이라는 말을 쓴다. 하지만 그 단어가 가리키는 실체는 예전과 다르다. 우리가 익숙하게 떠올리는 전통적인 온보딩―입사 첫 주 교육, 팀별 부서 소개, HR 워크북, 멘토 매칭, 점심 네트워킹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정착 프로그램―은 이제 대부분의 스타트업에선 작동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명확하다. 사람...
-
[신주은 롯데 코리아세븐 인재육성팀 대리] HRDer의 성장동력, 『월간HRD』
“교육 전공이세요?”기업교육담당자로 일하기 시작한 지 어느덧 4년 차가 된 지금도, 이 질문은 필자의 커리어 출발점을 떠올리게 한다.교육학을 전공하지 않은 채 HRD라는 생소한 분야에 들어왔기에 모든 게 낯설고 막막했던 시절, 프로그램 하나를 운영할 때도 긴장의 연속이었다. 과정 기획부터 강사 섭외, 보고서 작성까지 시행착오를 ...
-
[한아름 롯데웰푸드 인사기획담당 대리] 더 넓어진 HRD담당자의 시야
『월간HRD』 4월호에는, “이거 우리 조직 이야기 아닌가?” 싶은 순간이 유난히 많았다. 특히, 「HRD COLUMN」에서 소개된 ‘리더 포비아’라는 표현은 요즘 필자가 현업과 함께 고민하고 있는 바로 그 주제였다. 관련해선 업무를 수행하면서 리더들이 느끼는 고립감과 부담, 그리고 차기 조직 내 리더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2nd 리더들이 리더가...